어떤 도시에 쇼핑센터 A, 타가 있다. 두 쇼핑센터간 거리는 12km이다. A의 면적은 2,000m2 이고, B의 면적은 8,000m 이다. 컨버스(P. D. Converse)의 분기점 모형에 따른 두 쇼핑센터의 상권 경 계선은 어..
계산문제 모의고사풀이
(문제)
어떤 도시에 쇼핑센터 A, 타가 있다. 두 쇼핑센터간 거리는 12km이다. A의 면적은 2,000m2 이고, B의 면적은 8,000m 이다. 컨버스(P. D. Converse)의 분기점 모형에 따른 두 쇼핑센터의 상권 경 계선은 어디인가? (컨버스의 분기점 모형에 따르면, 상권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상가의 면적 에 비례한다)
① A로부터 1km 지점 ② A로부터 2km 지점 ③ A로부터 3km 지점 ④ A로부터 4km 지점 ⑤ A로부터 5km 지점
★★
(풀이)
㉠ 두 쇼핑센터의 크기 비
2,000(A):8,000(B) = 1:4 이므로
(A까지 거리)2:(B까지 거리)2 = 1:4
㉡ (A까지 거리):(B까지 거리) = 1:2
㉢ 그러므로 A에서 B까지의 거리 총 12km의 1:2 지점 은 A로부터 4km 지점이 된다(12km를 3등분한 후 A에서 한 칸은 A로부터 4km 지점).
★★
★★(문제)
다음 표는 쌀, 우유, 사과 세 가지 상품의 1,000m 당 연간 산출물의 시장가격, 생산비용, 교통비 용을 나타낸다. 상품의 생산지와 소비되는 도시까지의 거리가 19km인 지점에서도 이윤을 얻을 수 있는 상품(들)은? (다만,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모든 제품은 같은 지점에 있는 도시에 판매한다고 가정함)
(단위 : 만원)
|
① 쌀 ② 우유, 사과 ③ 쌀, 우유 ④ 쌀, 사과 ⑤ 쌀, 우유, 사과 |
★★
(풀이)
9km지점에서의각농산물별이윤의크기 ㉠ 쌀:150(시장가격) - 70(생산비용) - 19(거리)×5(km당 수송비) = - 15만원
즉, 15만원의 손실이 발생한다.
㉡ 우유:200(시장가격) - 100(생산비용) - 19(거리)×4(km 당 수송비) = 24만원
즉, 24만 원의 이익이 발생한다.
㉢ 사과:250(시장가격) - 130(생산비용) - 19(거리)×6(km 당 수송비) = 6만원
즉, 6만 원의 이익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시까지의 거리가 19km인 지점에서도 이윤을 얻 을 수 있는 상품(들)은 우유와 사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