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 가격이 오르면 공급도 증가한다. 즉 가격과 공급은 정관계이므로 공급곡선을 우하향이 아니라 우상향하는 모양을 갖게 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토지 이용규제가 강화되면 토지의 공급이 줄어들게 된다. 즉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더 급하게 되므로 비탄력적으로 된다. |
2.
문제 | 거미집이론에 의하면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이 공급의 탄력성보다 클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지면 새로운 균형으로 수렴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수요의 탄력성이 공급의 탄력성보다 크면 가격은 안정정인 균형으로 수렴하게 된다. |
3.
문제 | 거미집이론에 의하면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이 같을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지면 균형으로부터 이탈ㆍ발산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거미집이론에서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이 같을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져도 규칙적 순환형으로 변동될 뿐이다. |
4.
문제 | 거미집이론은 균형의 이동을 비교정학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비교정학 ⇒ 비교동학 - 비교정학 [比較靜學, comparative statics] 어떤 경제모형에서 여건의 변화로 성립되는 새로운 균형상태가 변화 이전의 균형상태와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 - 비교동학 [比較動學, comparative dynamics] 비교동학은 비교정학이 여건변동의 결과(균형점의 변동)에 주목하여 변수의 균형치의 변화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데 반해, 그 결과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적 적응과정을 문제로 삼는다. |
5.
문제 | 거미집이론에 따르면 가격이 변해도 수요량은 일정 기간 후에 변한다고 가정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거미집이론은 가격의 변화에 수요량은 즉각적인 반응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
★★
★★6.
문제 | 거미집이론은 가격이 변하면 공급량은 즉각 변한다고 가정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거미집이론의 핵심은 가격의 변동에 대응하여 수요량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공급량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야 반응하게 되므로, 실제 균형가격은 이러한 시간차(time lag)로 말미암아 다소간의 시행착오를 거친 후에야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
7.
문제 | 주거분리란 고소득층의 주거지역과 저소득층의 주거지역이 분리되는 현상을 말한다. |
정답 | O(옳다) |
8.
문제 | 주거분리는 주택 소비자가 정(+)의 외부효과 편익은 추구하려 하고, 부(-)의 외부효과 피해는 피하려는 동기에서 비롯된다. |
정답 | O(옳다) |
9.
문제 | 저소득층 주거지역에서 주택의 보수를 통한 가치 상승분이 보수비용보다 크다면 상향여과가 발생할 수 있다. |
정답 | O(옳다) |
10.
문제 | 저소득층 주거지역에서 주택의 보수를 통한 가치 상승분이 보수비용보다 크다면 상향여과가 발생할 수 있다. |
정답 | O(옳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