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 토지이용 행위에서 발생하는 외부불경제는 토지이용규제의 명분이 된다. |
정답 | O(옳다) |
2.
문제 | 부동산거래에 정보비용이 수반되는 것은 시장이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완전경쟁시장은 거래이 있어서 어떠한 장애와 비용도 수반되지 않는 시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완전한 시장이 아니라 시장이 불완전하다면 거래과정에 각종 장애와 비용이 수반되는 것이다. |
3.
문제 | 소수의 투자자가 다른 사람보다 값싸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시장은 할당효율적 시장이 되지 못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소수만이 값싸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그들에게 초과이윤이 존재하게되고, 이러한 정보불균형으로 인하여 자원이 효율적으로 할당되지 못하게 된다. |
4.
문제 | 독점을 획득하기 위한 기회비용이 모든 투자자에게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독점시장은 할당효율적 시장이 되지 못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이론적으로 독점시장도 독점을 획득하기 위해 지불되는 기회비용이 모든 투자자에게 동일하다면 자원이 효율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 것이다. 단지 대개의 경우 경험적으로 보면 독점시장의 경우 정보불균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서 할당효율적이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는 하다. |
5.
문제 | 소수의 사람들이 부동산을 매수하여 초과이윤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은 정보시장이 공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시장에서 초과이윤은 정보편중(정보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정보시장이 공개적이지 않아 정보가 소수에게 편중되기 때문이다. |
★★
★★6.
문제 | 부동산투기가 성립되는 것은 시장이 불완전하기 때문이라기보다는 할당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시장이 불완전하더라도 자원이 효율적으로 할당되어 누구도 초과이윤을 얻을 수 없다면 부동산투기는 일어나지 않는다. |
7.
문제 | 거미집 모형은 공급자가 언제나 현재의 시장임대료에만 반응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거미집이론에서는 차기의 공급량(생산량)에 대한 계획은 당기(현재)에 당기가격(당기임대료)에 따라 수립하는 것이지, 당기에는 알 수도 없는 차기의 가격에 따라 수립하는 것이 아니다. 즉 공급자의 미래가격에 대한 무지(無知)를 가정하고 있는 셈이다. |
8.
문제 | 거미집 모형이론은 부동산시장은 주기적으로 수요초과와 공급초과를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부동산의 착공에서 완공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경우 그 사이의 특정시점에서는 공급초과 내지 공급부족의 상태가 해소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
9.
문제 | 거미집 모형이론에 의하면 부동산시장에 주기적인 수요초과와 공급초과가 반복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시간적 갭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거미집이론의 이러한 특성은 생산결정에서 생산물의 수확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의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결정은 지금 이루어지지만 수확은 나중에 이루어진다. |
10.
문제 | 거미집 모형이론에 의하면 단기적으로 가격이 급등하게 되면 건물착공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공급물량이 막상 시장에 출하되게 되면 오히려 공급초과가 되어 침체국면에 접어든다는 것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거미집이론을 부동산시장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현재의 부동산가격이 높아 당장 건물의 착공을 결정하지만, 시차 때문에 실제 건물이 완공되는 미래시점에 가서는 당초의 기대와는 달리 공급초과로 부동산가격이 하락하여 침체기를 맞을 수도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