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시험 기출문제풀이

개론: 30회| 29회| 28회| 27회| 26회| 25회| 24회| 23회| 22회| 21회| 20회| 19회| 18회| 17회| 16회| 15(재)회| 15회| 14회| 13회| 12회|
민법: 30회| 29회| 28회| 27회| 26회| 25회| 24회| 23회| 22회| 21회| 20회| 19회| 18회| 17회| 16회| 15(재)회| 15회| 14회| 13회| 12회|
실무: 30회| 29회| 28회| 27회| 26회| 25회| 24회| 23회| 22회| 21회| 20회| 19회| 18회| 17회| 16회| 15(재)회| 15회| 14회| 13회| 12회|
공시: 30회| 29회| 28회| 27회| 26회| 25회| 24회| 23회| 22회| 21회| 20회| 19회| 18회| 17회| 16회| 15(재)회| 15회| 14회| 13회| 12회|
세법: 30회| 29회| 28회| 27회| 26회| 25회| 24회| 23회| 22회| 21회| 20회| 19회| 18회| 17회| 16회| 15(재)회| 15회| 14회| 13회| 12회|
공법: 30회| 29회| 28회| 27회| 26회| 25회| 24회| 23회| 22회| 21회| 20회| 19회| 18회| 17회| 16회| 15(재)회| 15회| 14회| 13회| 12회|
계산: 개론| 민법| 실무| 공시| 세법| 공법|
학습: 개론| 민법| 실무| 공시| 세법| 공법|


제29회 1차2차동차합격자"청년백수님"합격노하우-주4일 알바하면서

(공.준.열12회부터 29회 기출해설 과목당 7번풀기&인터넷에서구한 요약집공부)

이방법으로 1차2차동시합격하셨습니다.

수험생응원글 남기기 -방명록guestbook(이곳클릭)-에 글작성해주세요.

도시생존 서바이벌 -유투브~야고TV 구독 부탁드립니다.(이곳클릭)-



제31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예정 공고
접수기간 : 2020.08.10 ~ 2020.08.19
시험시행일 : 2020. 10. 31(토)
가답안발표기간 : 2020.10.31 ~ 2020.11.06
의견제시기간 : 2020.10.31 ~ 2020.11.06
합격자발표기간 : 2020.12.02 ~ 2021.02.01


★공.준.열★ 공인중개사시험 준비를 열심히 하는 사람들
1. 입문과정 (11~12월)
2. 기본이론과정 (1~2월)
3. 정규이론과정 (3~4월)
4. 심화이론과정 (5~6월)
5. 문제풀이 (7~8월)
6. 핵심특강 (9월)
7. 동형핵심모의고사 (10월)
★2018년 29회 기출문제 풀이 업로드완료★

공.준.열:-1차,2차 동시 합격자 탄생.

(학습방법:12회~28회 기출문제 과목당 7번정도 풀기)


1.

문제거미집 모형이론에 따른 가격 급등에 의한 공급초과 현상은 주거용보다는 상업용이나 공업용 부동산에 더 강하게 나타난다.
정답O(옳다)
해설수요가 가격변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한다는 가정의 의미는 수요곡선이 더 탄력적인 경우를 의미하는데, 주거용부동산에 비하여 상업용·공업용부동산이 필수재적인 성격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더 탄력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거미집이론 현상은 주거용보다는 상업용부동산에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2.

문제주택의 여과과정은 저급주택이 수선 또는 재개발되어 상위계층의 사용으로 전환되는 것을 뜻한다.
정답X(아니다)
해설주택의 여과현상이란 상위계층이 사용하던 기존의 고급주택이 노후화되어 하위계층이 사용하는 하향여과와 저급주택이 수선 또는 재개발되어 상위계층이 사용하게되는 상향여과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문제의 초점은 여과와 상향여과의 관계가 부분집합관계인가 아니면 등가관계인가에 있는데, 본 지문은 여과현상이 마치 상향여과만을 의미하는 등가관계인 것처럼 서술되어 있어, 역으로 설명하면 하향여과는 여과현상의 일종이 아닌 것처럼 서술되어 있으므로 올바른 설명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3.

문제주거분리란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서로 분리되고 있는 현상을 뜻한다.
정답X(아니다)
해설주거분리란 소득계층에 따라 고소득층의 주거지역과 저소득층의 주거지역이 서로 분리되고 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4.

문제주거분리현상은 인근지역을 제외한 도시 전체적인 측면에서만 일어난다.
정답X(아니다)
해설주거분리현상은 도시전체적인 측면에서 뿐만아니라,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근지역에서도 일어난다.


5.

문제저소득층 주택의 개량비가 가치상승분보다 적다고 하여 반드시 저소득층 주거지역이 재개발되는 것은 아니다.
정답O(옳다)
해설저소득층 주택의 개량비가 개량후의 가치상승분보다 적다면 개량을 할 경우에 이득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렇다고 하여 반드시 저소득층의 주거지역이 재개발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소득수준이 낮은 저소득층의 경우 경제적 부담 및 기타의 사회적?행정적 제약으로 인하여 재개발을 포기하여 불량주택촌으로 남아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


6.

문제인근지역의 여과과정에는 일반적으로 침입(invasion)과 계승(sucession)의 논리는 적용되지 않는다.
정답X(아니다)
해설주택을 개량하지 않아(보수하여) 주택가치가 점점 하락(상승)하게 되면 그 주택은 하향여과(상향여과)되게 되고 저소득층(고소득층)이 이를 사용하게 되는 하향여과(상향여과)현상이 발생하는데, 이처럼 한 지역의 기능에 다른 형태의 기능이 유입되는 과정도 침입(invasion)의 일종에 해당한다. 
한편 이와 같은 침입에 의하여 특정 지역의 토지이용이 다른 형태의 토지이용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계승(sucession : 천이)이라고 하는데, 하향여과 또는 상향여과도 이러한 천이과정의 한 형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근지역의 여과과정 역시 일반적으로 침입(invasion)과 계승(sucession)의 논리로 설명될 수 있다.


7.

문제인근지역의 여과과정에는 일반적으로 침입(invasion)과 계승(sucession)의 논리는 적용되지 않는다.
정답X(아니다)
해설주택을 개량하지 않아(보수하여) 주택가치가 점점 하락(상승)하게 되면 그 주택은 하향여과(상향여과)되게 되고 저소득층(고소득층)이 이를 사용하게 되는 하향여과(상향여과)현상이 발생하는데, 이처럼 한 지역의 기능에 다른 형태의 기능이 유입되는 과정도 침입(invasion)의 일종에 해당한다. 
한편 이와 같은 침입에 의하여 특정 지역의 토지이용이 다른 형태의 토지이용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계승(sucession : 천이)이라고 하는데, 하향여과 또는 상향여과도 이러한 천이과정의 한 형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근지역의 여과과정 역시 일반적으로 침입(invasion)과 계승(sucession)의 논리로 설명될 수 있다.


8.

문제주택의 상향여과는 소득증가와 같은 이유로 인해, 저가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을 때 나타난다.
정답X(아니다)
해설상향여과는 소득증가 등의 이유로 인해 저가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하위계층이 사용하던 일정수준 이하의 저급주택이 재건축ㆍ재개발을 통해 상위계층에게 이전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상위계층의 소득증가와는 관계없는 현상이다.


9.

문제거주자의 주택소비량의 정도는 제한된 예산으로 효용을 극대화하려는 선택의 문제로 볼 수 있다.
정답O(옳다)
해설주택의 소비행위 역시 다른 재화의 소비와 마찬가지로 제한된 예산으로 효용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행위이다.


10.

문제저가주택에 대한 수요증가는 저가주택시장의 기존 균형임대료 수준에서 초과 수요를 야기시키고, 초과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저가주택 임대료도 상승한다.
정답O(옳다)
해설수요증가로 인하여 수요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기존의 균형가격 수준에서 보다 많은 수요가 발생하므로 초과수요가 발생하고, 결국에는 수요공급의 가격결정원리에 따라 균형가격이 상승하고 초과수요는 해소되어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룬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