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사용시 좌.우 터치 드레그 하시면 됩니다.
○
문제 | 버제스의 동심원이론은 20세기 초반, 미국 시카고대학의 시카고학파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
정답 | O(옳다) |
○
문제 | 튀넨(J. V. Thunen)의 입지이론에 따르면 지대란 매상고에서 생산비와 수송비를 뺀 것으로서 수송비 절약이 지대를 발생시킨다는 이론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튀넨의 입지지대이론 지대 = 농산물 총수입 - 생산비(정상이윤 포함) - 수송비 따라서 튀넨의 입지지대의 결정식에서 궁극적으로 지대를 결정하는 것은 수송비의 절약이다. |
○
문제 | 튀넨(J. V. Thunen)의 입지이론에 따르면 작물ㆍ경제활동에 따라 한계지대의 곡선이 달라진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작물·경제활동에 따라 수송비 비중이 큰 작물은 시장(중심지)에 가까운 곳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집약적인 토지이용을 하게되며, 수송비 비중이 작은 작물은 외곽으로 이동하여도 수송비 증가분보다 지대의 절약분이 더 커서 외곽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조방적 토지이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물의 종류와 경제활동에 따라서 한계지대곡선이 달라진다. |
★★531 [입지공간구조론(이론)] 튀넨(J. V. Thunen)의 입지이론에 따르면 농산물 가격, 생산비, 수송비, 인간의 행태변화는 지대를 변화시킨다.★★
○
문제 | 튀넨(J. V. Thunen)의 입지이론에 따르면 중심지에 가까운 곳은 집약적인 토지이용을 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튀넨은 수송비의 차이만큼 지대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았으므로 시장(중심지)에 가까울수록 수송비가 절약되므로 지대가 높아진다. 따라서 중심지에서는 지대가 높으므로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
○
○
문제 | 튀넨(J. V. Thunen)의 입지이론에 따르면 택지의 가격은 위치의 가격에 농업지대를 합한 것이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택지의 가격은 위치의 가치와 농업지대의 합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것은 마샬의 지대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