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사용시 좌.우 터치 드레그 하시면 됩니다.
○
문제 | 농업입지이론으로 튀넨(Thunen)의 고립국이론:토지이용의 양태(樣態)는 경작농산물의 생산비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하고, 중심시장으로부터의 거리에 의한 동심원 지대(地帶) 모델을 제시하였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튀넨의 고립국이론 : 토지이용의 양태는 생산비가 아니라 소비지와 생산지의 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수송비에 의해 결정된다. 수송비의 차이만큼 지대차이가 발생하므로 수송비가 적게 드는 시장 내부의 지대가 가장 높다. 따라서 지대가 높은 시장 내부에서는 토지가 집약적으로 이용되고 지대가 낮은 외곽지역에서는 토지가 조방적으로 이용된다. |
○
문제 | 상업입지이론으로 허프(D. Huff)의 중심지이론:소비자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적당한 거리에 고차원 중심지가 있어도 인근의 저차원 중심지를 선택할 가능성이 커진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허프의 확률모형 : 소비자가 특정상점을 이용할 확률은 거리, 상점의 크기, 경쟁상점의 수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업입지에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구매행동패턴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 소득, 교통의 편리성 등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선택된 상품을 판매해야 상권이 형성된다. |
○
문제 | 공업입지이론으로 베버(A. Weber)의 최소비용이론:산업입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송비·임금·집적력 등인데 그 중에서 집적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베버의 최소비용이론 : 산업입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송비·임금·집적이익 등인데, 어떤 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원가절감을 통한 비용최소화를 달성해야하므로 산업입지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수송비용이다. |
★★
★★○
문제 | 상업입지이론으로 레일러(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두 도시의 상거래흡인력은 인구에 반비례하고 두 도시 분기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레일러의 소매인력법칙 : 상권의 범위는 해당 상권의 중심의 크기에 비례하는데 두 도시 사이의 상권의 흡인력은 상점수와 인구수에 비례하고, 양 도시 분기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
○
문제 | 상업입지이론으로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중심지 계층간의 포섭원리로서 중심지는 중심성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고차 중심지와 저차 중심지로 구분되며, 고차일수록 저차보다 중심지 간의 거리가 더 멀고 규모가 크며 다양한 중심기능을 가진다. |
정답 | O(옳다) |
○
문제 | 생산요소의 대체성은 기업이나 산업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는 않지만, 생산요소의 상대적 가격에 의해서 달라진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생산요소의 대체성은 생산요소의 상대적 가격 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산업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예컨대 금융업과 비교할 때 토지를 많이 사용해야 하는 축산업의 경우 토지의 사용을 자본의 사용으로 대체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생산요소의 대체성이 떨어진다. 즉 해당산업이 토지를 얼마나 많이 필요로 하는 산업이냐에 따라 대체성은 달라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