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사용시 좌.우 터치 드레그 하시면 됩니다.
○
문제 | 일정량의 재화를 생산하기 위한 토지와 자본의 대체관계는 우하향하는 지수곡선으로 나타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생산요소의 대체성은 생산요소의 상대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생산요소의 사용자는 토지가격이 자본가격에 비해서 싸다면 토지의 사용을 늘리고 자본의 사용을 줄일 것이며,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따라서 일정량의 재화를 생산하기위한 토지-자본의 사용량 간에는 반비례관계가 성립하므로 우하향의 곡선형태로 나타난다. |
○
문제 | 토지에 대한 자본의 결합비율은 도심에 가까울수록 높고 외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도심내부는 상대적으로 지가가 높으므로 가급적 토지의 사용을 줄이고, 자본의 사용을 늘리는 것이 경제적이다. 따라서 도심에서 토지에 대한 자본의 결합비율(자본사용량/토지사용량)이 높게 나타난다. 이를 토지의 집약적 이용이라 한다. |
○
문제 | 토지에 대한 자본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토지에 대한 자본의 대체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토지사용량에 비해 자본사용량이 높다는 것은 가급적 토지의 사용을 줄이고 자본의 사용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뜻하는데, 이는 토지사용을 자본사용으로 대체했다는 의미로서 토지에 대한 자본의 대체성이 크다는 것과 같다. |
★★
★★○
문제 | 도심지역에 입지하는 활동들은 대체로 토지에 대한 자본의 대체성이 큰 것들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도심지역에서는 토지를 집약적으로 사용하여 토지사용을 자본사용으로 대체하므로 토지에 대한 자본의 대체성이 크게된다. |
○
문제 | 어떤 토지이용에 있어 단위면적당 투입되는 노동·자본재의 비용을 토지이용의 집약도라 하고, 토지이용의 집약도가 낮은 경우를 조방적(粗放的) 토지이용이라 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토지이용의 집약도란 단위면적당 투입되는 노동·자본재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집약도가 높으면 동일한 면적의 토지에 투입되는 노동·자본재의 양이 증가하므로 토지가 밀도있게 이용된다. 예를 들어 지가가 높은 도심에서는 토지를 (고밀도로)집약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 경우 건물이 고층화된다. |
○
문제 | 토지이용에는 집약한계와 조방한계가 있다. 집약한계란 투입의 한계비용이 한계수입과 일치되는 선까지 투입이 추가되는 경우의 집약도이고, 조방한계는 최적의 조건하에서 겨우 생산비를 감당할 수 있는 산출 밖에 얻을 수 없는 집약도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집약한계란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하되 어느정도까지 집약적으로 이용할 것인지의 문제이다.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목적은 비용최소화를 통한 이윤극대화에 있으므로 토지의 집약적 이용은 총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도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이윤극대화점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점에서 달성되므로 토지의 집약한계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경우의 집약도를 의미한다. 한편 조방한계란 토지를 비집약적(조방적)으로 이용하되 어느정도까지 비집약적으로 이용할 것인지의 문제이다.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도 아니고 최선의 방법이 아닌 경우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토지를 비집약적으로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도 있다. 그러나 토지를 아무리 비집약적으로 이용한다고 해도 생산비조차 건질 수 없는 정도로 이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조방한계란 최적의 조건하에서 겨우 생산비를 감당할 수 있는 산출 밖에 얻지 못하는 경우의 집약도를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