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과목별 OX풀이 부동산학개론★
공인중개사 과목별 OX풀이 민사및 민사특별법★
공인중개사 과목별 OX풀이 중개사법★
공인중개사 과목별 OX풀이 공시법★
공인중개사 과목별 OX풀이 세법★
공인중개사 과목별 OX풀이 공법★
1. 부동산학은 부동산의 가치증진을 위해 부동산활동의 주체들의 의사결정을 연구하기 위해
부동산의 법적․경제적․기술적 측면에서 학문연구를 시도하는 가상적 학문이다. ( )
2. 부동산학은 주변과학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한 종합과학이다. ( )
3.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으로 부동산활동과 자연현상이 있다. ( )
4. 부동산학의 무형적 측면으로는 법률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포함하고, 유형적 측면으로는
경제적 측면을 포함한다. ( )
5. 복합부동산이란 법률적․경제적․기술적 개념의 부동산을 의미한다. ( )
6. 부동산활동의 사적주체들은 부동산이용의 효율성보다는 소유의 형평성을 더욱 더 중요시한다. ( )
7. 제1섹터는 민간부분의 부동산활동주체를 말한다. ( )
8. 부동산학의 연구목적은 부동산과 인간의 관계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 )
9. 부동산업의 중분류 항목에는 부동산임대 및 공급업, 부동산관련 서비스업, 부동산 금융업이 있다. ( )
10. 법제도적 접근방법은 부동산활동의 주체는 자기이윤의 극대화를 위해 의사결정을 하는
합리적 존재로 인식하고 부동산학을 연구하는 방법이다. ( )
11. 의사결정적 접근방법은 부동산의 최고최선의 이용을 도모한 사적주체들의 의사결정에
중점을 둔 접근방법이다. ( )
12. 복합부동산이란 법률적 개념의 부동산을 의미한다. ( )
13. 부동산의 기술적 개념으로 자연, 위치, 생산요소의 가격, 자산, 공간, 환경 등을 의미한다. ( )
14. 경제적 개념으로서의 부동산은 부동산의 수급관계적 위치, 가격관계 등도 함께 다루어진다. ( )
15. 법률적 개념으로 부동산에는 협의의 부동산과 광의의 부동산으로 구분할 수 없다. ( )
16. 민법상 부동산은 토지 및 건물로 정의된다. ( )
17. 토지소유자는 법률적 범위 내에서 토지를 사용․수익․처분할 수 있으며, 소유권의 공간적 범위는
토지의 상․하로 무한히 확대된다. ( )
18. 민법상 토지소유권의 규정은 입체적으로 되어 있다. ( )
19. 지하광물에 대해서는 민법상의 객체로 인정하고 있다. ( )
20. 정착물은 토지에 일시적으로 부착되어 이용가치를 더한 토지개량물이다. ( )
★★
★★정답 및 해설1. X - 가상적 학문이 아니다.
2. X - 그대로 적용한 것이 아니라 응용한
3. X - 자연현상이 아니라 부동산현상
4. X - 무형적 측면에는 법률적․경제적 측면, 유형적 측면에는 기술적 측면을 포함
5. X - 복합부동산은 토지와 건물처럼 서로 다른 2개의 부동산이 일체로 이용되는 경우를 의미함
6. X - 사적주체들은 형평성보다는 효율성을 중요시함
7. X - 제1섹터는 정부부문, 제2섹터는 민간부문임
8. O
9. X - 중분류에는 부동산금융업이라는 것은 없다.
10. X - 법제도적 접근방법이 아니라 의사결정적 접근방법이다.
11. O
12. X - 복합부동산은 부동산활동상의 개념이지 법률적 개념이 아니다.
13. X - 생산요소의 가격과 자산은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을 의미함
14. O
15. X - 구분할 수 있다.
16. X - 토지 및 그 정착물
17. X - 토지 소유권은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 내에서 토지의 상․하에 미친다.
18. O
19. X - 민법상의 객체가 아니다.
20. X - 일시적이 아니라 항구적 또는 영구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