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분류]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동산은 부동산의 수급관계적(需給關係的) 위치, 가격관계 등도 함께 다루어 진다.
문제 |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동산은 부동산의 수급관계적(需給關係的) 위치, 가격관계 등도 함께 다루어 진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부동산의 가격은 부동산을 이용한 수익을 결정하는 구성요인으로서 결국 부동산의 수급관계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동산은 부동산의 수급관계까지도 다루게 된다. |
[개념분류] 갱지는 토지 위에 건물이 없고 사적 부담과 공법상 규제가 없는 토지를 말한다.
문제 | 갱지는 토지 위에 건물이 없고 사적 부담과 공법상 규제가 없는 토지를 말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갱지 : 토지상에 지상물이 없고 공법상 규제를 받기는 하지만 사적제약이 없는 토지로서 시장성이 매우 높다. |
[개념분류] 공한지는 도시토지로서 지가상승만을 기대하고 장기간 방치하는 토지를 말한다.
문제 | 공한지는 도시토지로서 지가상승만을 기대하고 장기간 방치하는 토지를 말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공한지 : 도시에 존재하는 토지로서 지가상승만을 기대하는 투자목적에서 장기간 그대로 방치하는 토지를 말한다. |
[개념분류]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동산을 유형적 관점에서 보면 토지의 지세(地勢) · 지반(地盤) 등이 연구의 대상으로 된다.
문제 |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동산을 유형적 관점에서 보면 토지의 지세(地勢) · 지반(地盤) 등이 연구의 대상으로 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토지의 지형·지세·지반 등의 물리적 측면을 다루는 것은 부동산의 기술적 측면으로서 유형적 측면에 해당한다. |
[개념분류] 경제적 측면에서의 토지는 경제재 또는 생산요소의 하나로서 연구된다.
문제 | 경제적 측면에서의 토지는 경제재 또는 생산요소의 하나로서 연구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부동산의 경제적 측면이란 부동산과 관련된 수익, 비용과 그 결과로 얻어지는 이익의 관점에서 부동산을 분석하는 것을 말하는데, 경제적 측면에서 본다면 토지도 노동·자본과 마찬가지로 생산요소의 일종이므로 비용(생산비)의 구성요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