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 부동산 임대업은 주거용 건물임대업, 비주거용 건물임대업, 기타 부동산 임대업으로 분류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6811 부동산 임대업 68111 주거용 건물 임대업 68112 비주거용 건물 임대업 68119 기타 부동산 임대업 |
2.
문제 |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은 부동산관리업, 부동산감정업, 부동산컨설팅업, 부동산중개업으로 분류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부동산관련 서비스업(682)은 '부동산 관리업(6821)'과 '부동산 중개 및 감정업(6822)'으로 분류된다. 682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6821 부동산 관리업 68211 주거용 부동산 관리업 68212 비주거용 부동산 관리업 6822 부동산 중개 및 감정평가업 68221 부동산 자문 및 중개업 68222 부동산 감정평가업 |
3.
문제 | 준(準) 부동산은 부동산과 유사한 공시방법을 갖춤으로써 넓은 의미의 부동산에 포함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광의의 부동산 = 협의의 부동산 + 준부동산 ㈀ 협의의 부동산(민법상의 부동산):토지 및 그 정착물(민법 제99조) ㈁ 준부동산(의제부동산):공장재단, 광업재단, 어업권, 광업권, 입목, 선박(20톤 이상), 항공기, 건설기계, 자동차 등 법률상의 공장재단, 광업재단, 어업권, 항공기 등은 ‘의제부동산’으로서 광의의 부동산'에 속한다. (11회 1번 ④) |
4.
문제 |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은 자본, 자산으로서의 특성을 지닌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부동산의 경제적 측면이란 부동산과 관련된 수익, 비용과 그 결과로 얻어지는 이익의 관점에서 부동산을 분석하는 것을 말하는데, 경제적 측면에서 본다면 토지도 노동·자본과 마찬가지로 생산요소의 일종이므로 비용(생산비)의 구성요인이다. |
5.
문제 | 부동산의 물리적 개념은 부동산 활동의 대상인 유형적 측면의 부동산을 이해하는데 포함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부동산의 개념 - 물리적 개념 : 부동산을 자연, 공간, 위치, 환경적 차원에서 그 일부로 파악하는 경우 - 경제적 개념 : 부동산을 자산, 자본, 생산요소, 상품의 일종으로 파악하는 경우 - 법률적 개념 : 부동산을 소유권 및 그 이외의 권리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경우 |
★
6.
문제 | 좁은 의미의 부동산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을 말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협의의 부동산이란 민법상의 개념으로 민법 제99조 제1항에서의 ‘토지 및 그 정착물’을 말한다. (11회 1번 ①) |
7.
문제 | 토지는 생산재 이지만 소비재는 아니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토지는 생산재이기도 하지만 소비재도 될 수 있다. 휴양림이나 등산이나 주차장, 자전거 도로 등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소비재로 볼 수 있다. 17회 1번 ⑤ 부동산의 경제적 개념의 하나로 소비재를 소개한 지문이 있다. |
8.
문제 |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중 부동산관리업은 주거용 부동산 관리업과 비주거용 부동산 관리업으로 분류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6821 부동산 관리업 68211 주거용 부동산 관리업 68212 비주거용 부동산 관리업 |
9.
문제 |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은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비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기타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으로 분류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6812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68121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68122 비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68129 기타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