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 공중공간은 주택·빌딩·기타 공중을 향하여 연장되는 공간으로서 일정한 높이에 한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공중공간은 경제적 이용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일정한 한도까지만 인정되며 그 범위내에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권리행사의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
문제 | 건축면적은 건물의 전 층수 평균바닥면적을 말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건축면적 : 건물외벽의 중심선으로 둘러쌓인 수평바닥면적 |
문제 | 건축연면적은 지하층을 제외한 지상건축총면적을 말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건축연면적 : 지하층을 포함한 건축물 (전층의) 총면적 |
문제 | 부동산학은 추상적인 학문이 아니라 부동산활동을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인 경험과학이다. |
정답 | O(옳다) |
문제 | 부동산학은 순수과학과는 달리 복잡한 현실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응용과학이다. |
정답 | O(옳다) |
문제 | 부동산학이 추구하는 가치를 민간부문에 한정하여 볼 때는, 효율성보다는 형평성을 중시하게 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민간부문에서는 효율성을 중시하고, 공공부문에서는 형평성을 중시한다. 개개인의 사익을 추구하는 민간부문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돈을 벌 수 있을 것인가'가 중요하고,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공공부문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효율성도 중요하겠지만 그 보다는 얻어진 과실을 '어떻게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분배할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 |
★
문제 | 부동산학은 부동산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동산의 법적ㆍ경제적ㆍ기술적 측면의 접근을 시도하는 종합응용 사회과학이다. |
정답 | O(옳다) |
문제 | 부동산학이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 |
정답 | O(옳다) |
문제 | 공중권(air right)이란 소유권자가 토지구역상의 공중공간을 타인에게 방해받지 않고,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 내에서 이용ㆍ 관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공중권(air rights) 미국에서 유래된 토지소유권의 범위가 확대된 개념으로서 대도시에서 상공의 공중권을 팔고 사서 주택 등을 건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뉴욕시의 매디슨 스퀘어가든은 철도용지 상공의 공중권을 사서 그 위에 건설한 스포츠 ·오락 시설이다. |
문제 | 건폐율은 건축면적의 총건축면적에 대한 비율로서 건축밀집도를 나타낸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건폐율 :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 |
\
'출제된분류별학습 >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 [개념분류] 정착물은 토지와 서로 다른 부동산으로 간주되는 것과 토지의 일부로 간주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0) | 2017.11.11 |
---|---|
70 [개념분류] 「후보지」는 부동산의 용도적 지역이 상호간에 전환되고 있는 지역의 토지를 말한다. (0) | 2017.11.11 |
49 [개념분류] 입체공간으로서의 부동산은 법률적 개념, 경제적 개념인 동시에 기술적 개념이기도 하다. (0) | 2017.11.11 |
40 [개념분류] 필지가 법률상의 단위개념인데 반하여 획지는 토지 이용을 상정하여 구획되는 경제적·부동산학적인 단위개념이다. (0) | 2017.11.11 |
35 [개념분류] 택지란 건축물이 있거나 또는 건축할 수 있는 토지를 말한다. (0) | 2017.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