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사용시 좌.우 터치 드레그 하시면 됩니다.
1.
문제 |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소유권을 할당하고 공간을 배분하는 기능을 한다, |
정답 | O(옳다) |
2.
문제 | 완전히 동질적인 아파트라 하더라도 아파트가 입지한 시장지역이 달라지면 서로 다른 가격이 형성될 수 있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똑같은 아파트라도 입지한 지역의 차이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
3.
문제 | 리카아도(D. Ricardo)의 차액지대설에 의하면 곡물수요의 증가가 재배면적을 확대하게 되며, 이 경우 비옥도와 위치에 있어서 열등지와 우등지가 발생하게 되는 바, 지대는 한계지를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생산력이 높은 토지에 대한 대가를 말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차액지대설에 의하면 곡물수요가 증가로 곡물가격이 상승하면 토지수요(재배면적)가 증가하므로 비옥도(생산력)에 따라 한계지보다 생산력이 높은 토지에는 지대가 발생한다. |
★★
★★4.
문제 | 마르크스(K. Marx)의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지대는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는 그 자체로 인하여 발생하며, 따라서 한계지 밖에서도 토지소유자가 요구하면 지대가 발생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절대지대설에 의하면 토지는 사유화되어 있으므로 생산력과 관계없이 토지소유자는 독점적 지위를 누린다. 최열등지라도 경제적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무상으로 이용할 수 없으므로 모든 토지에는 지대가 있다. |
5.
문제 | 신고전학파는 지대는 잉여가 아니라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이므로, 지대는 생산물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소비용으로 파악하였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지대를 비옥도에 따라 지주에게 지급되는 잉여가치이며 지대는 생산비가 아니라 생산물가격의 결과라고 보았던 Ricardo와는 달리, 신고전학파는 지대는 잉여가 아니라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생산비)이므로 생산물가격 등락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 |
6.
문제 | 고전학파는 토지를 자본과 구별하지 않았으며, 토지의 자연적 특성을 강조하고, 지대를 불로소득으로 간주했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고전학파는 생산요소를 토지·노동·자본으로 구분하였으며, Ricardo는 비옥도(생산성)의 차이에 따라 지주에게 지급되는 대가(잉여가치)가 곧 지대이므로 지대를 불로소득으로 간주하였다. |
출처 | http://ogoodvip.net 공인중개사 시험준비 커뮤니티. |
알림 | 제32조(지적 재산권) 당사가 지적 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자료, 서비스, 소프트웨어, 상표 등을 당사의 서면 동의 없이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대여, 대출, 배포, 제작, 양도, 재라이센스, 담보권 설정, 상업적 이용행위 등을 할 수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