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문제
[부동산학개론]
도시공간구조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동심원이론에 따르면 저소득층일수록 고용기회가 적은 부도심과 접근성이 양호하지 않은 지역에 주거를 선정하는 경향이 있다.
② 선형이론에 의하면 고소득층의 주거지는 주요 교통노선을 축으로 하여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입지하는 경향이 있다.l
③ 동심원이론에 의하면 점이지대는 고소득층 주거지역보다 도심에 가깝게 위치한다.
④ 다핵심이론에서 도시는 하나의 중심지가 아니라 몇 개의 중심지들로 구성된다.
⑤ 동심원이론은 도시의 공간구조를 도시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1번정답
<정답> ①
<해설>
동심원이론은 단핵이론이기 때문에 부도심이 존재하지 않는다.
동심원이론에 따르면 도시가 하나의 핵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확장되며 저소득층일수록 주거환경이 열악한 천이지대근처에 입지하게 된다.
-----------
2번문제
[부동산학개론]
부동산의 가치발생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제22회)
① 효용(유용성)은 인간의 필요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재화의 능력을 말한다.
② 상대적 희소성은 인간의 욕망에 비해 욕망의 충족 수단이 질적?양적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③ 가치발생요인인 효용, 유효수요, 상대적 희소성 중 하나만 있어도 가치가 발생한다.
④ 양도가능성(이전성)을 부동산의 가치발생요인으로 포함하는 견해도 있다.
⑤ 가치형성요인은 가치발생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2번정답
<정답> ③
<해설>
가치가 발생되기 위해서는 효용, 유효수요, 상대전희소성, 이전성이 상호 결합되어서 나타난다.
-----------
3번문제
[부동산학개론]
부동산가치의 제원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제15회 추가)
① 수익배분의 원칙은 토지잔여법의 성립근거가 된다.
② 변동의 원칙은 감정평가시 기준시점과 관련이 있다.
③ 균형의 원칙은 기능적 감가와 관련이 있고, 적합의 원칙은 경제적 감가와 관련이 있다.
④ 적합의 원칙은 내부구성요소간의 결합이 적합해야 최유효이용이 된다는 점에서 최유효이용의 원칙과 관련성이 깊다.
⑤ 기여의 원칙은 인근토지를 매수?합필하거나 기존건물을 증축하는 경우, 그 추가투자의 적부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원칙이다.
3번정답
<정답> ④
<해설>
균형의 원칙에 대한 설명이다.
균형의 원칙이란 대내적공간의 원칙으로서 부동산의 유용성이 최고도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내부구성요소간의 결합상태가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는 원칙으로 불균형시에는 기능적감가의 요인이 된다.
적합의 원칙은 부동산의 효용성/수익성/쾌적성을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인근환경에 적합하여야 한다는 원칙으로 부동산에만 적용되는 원칙이다.
-----------
4번문제
[부동산학개론]
동일한 효용을 가진 여러 부동산 중에서 가격이 가장 낮은 것이 선택되고 이 가격이 다른 부동산의 가치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 원칙은? (제16회)
① 균형의 원칙
② 예측의 원칙
③ 변동의 원칙
④ 대체의 원칙
⑤ 기여의 원칙
4번정답
<정답> ④
<해설>
대체의 원칙이란 부동산가치는 대체성이 있는 다른 부동산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형성된다는 원칙으로서, 경제적/합리성을 추구하는 인간은 효용이 동일하다면 낮은가격을, 가격이 동일하다면 효용이 높은것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대체성이 있는 부동산에 영향을 받아 가치가 결정된다.
5번문제
[부동산학개론]
다음 보기와 관련이 깊은 부동산가격원칙을 맞게 나열 한 것은? (제17회)
5번정답
[부동산학개론]
<정답> ⑤
<해설> 균형의 원칙:기능적 감가와 관련
적합의 원칙:경제적 감가와 관련
변동의 원칙:기준시점과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