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사용시 좌.우 터치 드레그 하시면 됩니다.
1.
문제 | 취득세의 납세의무의 성립시기는 취득세 과세물건을 취득하는 때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상세해설 관련법령 [지방세기본법 제2장 제1절 제34조 ①항 1호] |
2.
문제 | 등록에 대한 등록면허세의 납세의무의 성립시기는 재산권 기타 권리를 등기 또는 등록하는 때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상세해설 관련법령 [지방세기본법 제2장 제1절 제34조 ①항 2호] |
3.
문제 | 종합부동산세의 납세의무의 성립시기는 재산세의 과세기준일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상세해설 관련법령 [국세기본법 제3장 제1절 제21조 ①항 4호] |
4.
문제 | 납세자가 국내에 주소를 둔 경우 부동산의 상속으로 인한 취득세의 법정신고기한은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월 이내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상세해설 관련법령 [지방세법 제2장 제3절 제20조 ①항] |
5.
문제 | 등록면허세의 법정신고기한은 등기 또는 등록을 하기 전까지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상세해설 관련법령 [지방세법 제3장 제2절 제30조 ①항] |
★★
★★6.
문제 | 건물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과세표준확정신고기한은 양도소득이 있는 연도의 다음연도 5월 31일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상세해설 관련법령 [소득세법 제3장 제8절 제110조 ①항] |
7.
문제 | 종합부동산세의 법정신고기한은 납세의무자가 신고납부 방식을 택하는 경우 당해 연도 12월 15일이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 상세해설 관련법령 [종합부동산세법 제4장 제16조 ③항] |
8.
문제 | 가산세란 지방세법에 규정하는 의무의 성실한 이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에 지방세법에 의한여 산출한 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하며 가산금을 포함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 상세해설 관련법령 [지방세기본법 제1장 제1절 제2조 ①항 23호] |
9.
문제 | 취득세의 부가세(附加稅)인 농어촌특별세는 지방세이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 상세해설 취득세는 지방세이고 농어촌특별세는 과세주체가 국가인 국세로서 목적세이자 부가세이다. 관련법령 [국세기본법 제1장 제1절 제2조 1호 타목] |
10.
문제 | 사업용 건물의 양도시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는 양수인이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 상세해설 부가가치세의 납세의무자는 영리목적의 유무에 불구하고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사업자)가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으므로 납세의무자는 양도인이다. 관련법령 [부가가치세법 제1장 제3조] [부가가치세법 제1장 제2조 3호] |
'출제된분류별학습 > 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56 [취득세] 동일한 취득물건에 대하여 2 이상의 세율이 해당되는 경우 취득세 세율은 그 중 낮은 세율을 적용한다. (0) | 2017.11.13 |
---|---|
45 [취득세] 취득세의 조세의 분류체계상 지방자치단체 중 구세에 해당한다. (0) | 2017.11.13 |
34[조세의 정의 분류] 가산세란 세법에서 규정하는 의무의 성실한 이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세법에 따라 산출한 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하며, 가산세에는 가산금은 포함하지 아니.. (0) | 2017.11.13 |
13 [납세의무성립 확정] 재산세의 납세의무의 성립시기는 과세기준일이다. (0) | 2017.11.11 |
6 [납세의무성립 확정] 지방교육세의 납세의무의 성립시기는 재산세의 과세기준일이다. (0) | 2017.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