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사용시 좌.우 터치 드레그 하시면 됩니다.
1.
문제 | 부동산시장도 외부효과에 의해 시장의 실패(market failure)가 발생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시장실패를 유발시키는 요인은 정보의 불균형, 독점, 공공재, 외부효과 등인데, 부동산의 경우에도 다른 재화와 마찬가지로 시장의 가격기구를 통하지 않는 여러 가지 외부효과가 발생하여 시장실패가 일어나기 쉽다. |
출처 | http://ogoodvip.net 공인중개사 시험준비 커뮤니티. |
알림 | 제32조(지적 재산권) 당사가 지적 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자료, 서비스, 소프트웨어, 상표 등을 당사의 서면 동의 없이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대여, 대출, 배포, 제작, 양도, 재라이센스, 담보권 설정, 상업적 이용행위 등을 할 수 없습니다. |
2.
문제 | 부동산시장의 행정규제는 단기적으로 시장의 수요조절 기능을 저해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시장의 수요조절기능이란 오로지 시장의 가격기구에 의하여 재화의 수요가 결정되어 균형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시장에 대한 여러 가지 행정적 규제가 존재하게 되면 시장가격에 따라 수요가 변화하여 균형점으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을 방해하여 그 조절기능을 위축시킨다. |
3.
문제 |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위치, 규모, 용도 등에 따른 부분시장이 형성되어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진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지역별, 용도별, 규모별, 소유권 형태별로 다양한 시장의 세분화가 이루어져 부분시장이 형성된다. |
★★
★★4.
문제 | 부동산시장은 가격을 창조하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창조된 가격은 가격변동 등의 원인으로 파괴된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가격결정기능(가격의 창조와 파괴) |
5.
문제 |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양과 질을 조정하는 기능이 있다. 주택의 수요감소는 주택의 질에 대한 개선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
정답 | O(옳다) |
해설 | 기본적으로 주택수요는 질적 개념보다는 양적 개념에 가깝다. 그러나 주택수요가 양적 개념이기는 하지만 주택의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초과공급상태에서 주택수요가 감소한다면 공급자들간의 경쟁이 심화되어 주택의 질적 경쟁이 일어나 주택의 질적 개선이 나타날 가능성은 있다. 반면에 초과수요상태에서 주택수요가 증가한다면 오히려 불량주택이 증가하여 주택의 질적 악화가 유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주택수요의 변화가 반드시 질적개선을 가져온다고 할 수 는 없다. |
6.
문제 | 부동산시장은 거래를 비공개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비공개는 정보수집을 어렵게 한다. |
정답 | X(아니다) |
해설 | 다른 시장과 미찬가지로 부동산시장은 원칙적으로 거래를 공개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다만 일반재화와는 달리 부동산은 개별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거래정보가 잘 공개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모든 시장은 원칙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부동산시장의 원칙적인 기능과 특성을 구분해야 한다. |
출처 | http://ogoodvip.net 공인중개사 시험준비 커뮤니티. |
알림 | 제32조(지적 재산권) 당사가 지적 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자료, 서비스, 소프트웨어, 상표 등을 당사의 서면 동의 없이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대여, 대출, 배포, 제작, 양도, 재라이센스, 담보권 설정, 상업적 이용행위 등을 할 수 없습니다. |
'출제된분류별학습 >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2 [부동산시장(이론)] 부동산시장은 여러 가지 법적 제한이 많고, 시장이 불완전해지는 경향이 많다. (0) | 2017.11.14 |
---|---|
456 [부동산시장(이론)]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부증성 때문에 고도로 국지화되는 경향을 갖는다. (0) | 2017.11.14 |
444 [부동산시장(이론)]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유사성 및 대체성 때문에 완전경쟁시장으로 분류된다. (0) | 2017.11.14 |
438 [부동산시장(이론)] 부동산시장은 대부분 강성 효율적 시장이며, 시장 참여자들은 초과이윤을 누릴 수 없다. (0) | 2017.11.14 |
432 [경기변동(이론)] 상향시장에서는 건축허가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0) | 2017.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