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문제
m.
부동산 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분투자방식에는 조인트벤처(Joint Venture), 리츠(REITs) 등이 있다.
② 주택저당담보부채권(MBB)은 조기상환의 위험부담을 투자자에게 전가한다.
③ 유동화자산은 자산유동화의 대상이 되는 자산으로서 채권, 부동산, 기타 재산권을 말한다.
④ 역저당(Reverse Mortgage)제도란 대출자가 차입자의 주택을 담보로 매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일정액을 지불하는 제도이다.
⑤ 대출금이 과도한 경우 차입자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커질 위험이 있다.
1번정답
j.정답: ②
저당담보증권의 종류에는 MPTS, MBB, MPTB가 있는데 이 중 모든 위험(대표적인 위험이 이자율위험, 조기상환위험, 채무불이행위험)이 투자자에게 다 이전되는 상품이 MPTS이고 반대로 모든 위험을 증권발행기관이 부담하는 상품이 MBB이다. MPTB는 중간 형태의 증권이다.
---1---
2번문제
m.국내 부동산 금융의 현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다양한 부동산 관련 자산을 기초로 한 자산유동화증권(ABS)이 발행되고 있다.
② 부동산투자회사제도가 도입되면서 소액투자자도 대규모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
③ 부동산 개발관련 대출채권이 증권화되면서 개발사업의 자금조달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④ 2차 주택저당시장제도(secondary mortgage market)가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⑤ 부동산신탁회사의 신탁업무 중 토지(개발)신탁업무는 아직 허용되고 있지 않다.
2번정답
j.정답: ⑤
토지(개발)신탁업무도 허용되고 있다.
---2---
3번문제
m.거미집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40-1)
①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이 공급의 탄력성보다 클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지면 새로운 균형으로 수렴한다.
②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이 같을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지면 균형으로부터 이탈, 발산한다.
③ 균형의 이동을 비교정학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④ 가격이 변해도 수요량은 일정기간 후에 변한다고 가정한다.
⑤ 가격이 변하면 공급량은 즉각 변한다고 가정한다.
3번정답
j.정답: ①
①수요의 탄력성이 공급의 탄력성보다 크면 수렴하게 된다.
▶ 1. 수렴적 진동형이 되기 위한 조건(균형점에 가까워진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 수요곡선의 기울기 〈 공급공선의 기울기
2. 발산적 진동형이 되기 위한 조건 (균형점에서 멀어진다.)
. 수요의 가격 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 수요곡선의 기울기 〉 공급곡선의 기울기
②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이 같을 경우에는 순환형이 된다.
③ 균형의 이동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태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④ 가격이 변하면 ‘공급량’은 일정기간 후에 변한다고 가정한다.
⑤ 가격이 변하면 ‘수요량’은 즉각 변한다고 가정한다.
★★3★★
4번문제
m.주거서비스의 공급곡선이 임대료에 대해 완전비탄력적이라고 한다. 현재의 임대료하에서 초과수요가 존재한다면, 균형임대료와 균형거래량은 각각 어떻게 변할까? (단,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31-16)
① 균형임대료 상승, 균형거래량 감소
② 균형임대료 상승, 균형거래량 변화 없음
③ 균형임대료 하락, 균형거래량 증가
④ 균형임대료 하락, 균형거래량 변화 없음
⑤ 균형임대료 변화, 균형거래량 변화 없음
---4---
4번정답
j.정답: ②
공급곡선이 완전비탄력적이라는 것은 공급공선의 모양이 수직이며 거래량에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현재의 임대료 수준에서 초과수요가 존재하면 균형임대료는 상승하지만 균형거래량은 변화가 없다.
5번문제
m.토지의 자연적.인문적 특성과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 (18-1)
① 토지의 부증성은 토지 사용이나 판매를 둘러싼 계약에 있어 법적으로 대체가능성을 없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② 토지의 공공성은 토지시장에 대한 정부개입의 명분을 약화시킨다.
③ 토지는 비생상성 때문에 개별 용도의 관점에서도 공급을 증가시킬 수 없다.
④ 토지의 영속성은 부동산 시장을 국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⑤ 토지는 이용의 비가역성이 있으므로 토지이용과 관련된 의사결정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배려가 필요하다.
5번정답
j.정답: ⑤
① 개별성에 대한 설명이다.
② 토지의 공공성은 토지시장에 대한 정부개입의 명분을 강화시킨다.
③ 비생산성(부증성)으로 물리적 공급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용도적 관점에서의 공급은 증가시킬 수 있다.
④ 부동성에 대한 설명이다.
---5---
수고하셨습니다.
6번문제
m.어떤 지역의 아파트 시장균형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는 요인은?(단, 다른 조건은 불변이라고 가정)
① 대체 주택에 대한 수요감소
② 아파트 주변환경의 개선
③ 건설기술의 진보로 인한 생산성 향상
④ 가구 소득의 증가
⑤ 지역 내 유입인구의 증가
6번정답
j.정답 : ③
시장균형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결정요인이 변할 경우에 변화하며, 아파트 균형가격은 아파트 수요가 감소하거나 공급이 증가할 경우에 하락한다. 즉, 지문 ③의 건설기술의 진보로 생산성이 향상되면 아파트 공급이 증가하고 균형가격이 하락한다. (①②④⑤는 아파트에 대한 수요증가원인)
---6---
7번문제
m.주택의 분류 중에서 공동주택의 유형으로 틀린 것은?
① 아파트
② 연립주택
③ 다세대주택
④ 다중주택
⑤ 기숙사
7번정답
j.정답 : ④
- 단독주택 :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 공동주택 :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7---
8번문제
m.다음 중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상 지목에 해당하는 것은?
① 제방
② 저수지
③ 유휴지
④ 사찰용지
⑤ 선하지
8번정답
j.정답 : ①
제방은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상 28개의 지목 중 하나이다.
-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상 지목 :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광천지, 염전, 대(垈), 학교용지, 주유소용지, 창고용지, 도로, 철도용지, 제방, 구거, 유지 양어장, 수도용지, 공원, 체육용지, 종교용지, 사적지, 묘지, 잡종지, 주차장, 공장용지, 하천, 유원지
★★8★★
9번문제
m.부동산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은 자본, 자산으로서의 특성을 지닌다.
② 좁은 의미의 부동산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을 말한다.
③ 준(準)부동산은 부동산과 유사한 공시방법을 갖춤으로써 넓은 의미의 부동산에 포함된다.
④ 부동산의 물리적 개념은 부동산 활동의 대상인 유형적 측면의 부동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⑤ 토지는 생산재이지만 소비재는 아니다.
9번정답
j.정답 : ⑤
토지는 인간생활에 필요한 재화를 생산하는 필수불가결한 생산요소일 뿐만 아니라,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는 최종 소비재이기도 하다. 공원, 놀이터, 관광휴양지와 같은 위락용 토지나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토지는 간접적으로는 생산요소로서의 역할을 할지 모르지만, 보다 직접적으로는 최종소비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9---
10번문제
m.부동산의 정착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제거하여도 건물의 기능 및 효용의 손실이 없는 부착된 물건은 동산으로 취급한다.
② 토지에 정착되어 있으나 매년 경작노력을 요하지 않는 나무와 다년생식물 등은 부동산의 정착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부동산중개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③ 정착물은 당사자들 간의 합의나 쓰임새, 관계 등에 따라 주물 또는 종물로 구분될 수 있다.
④ 정착물은 사회, 경제적인 면에서 토지에 부착되어 계속적으로 이용된다고 인정하는 물건이다.
⑤ 정착물은 토지와 서로 다른 부동산으로 간주되는 것과 토지의 일부로 간주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10번정답
j.정답 : ②
경작노력을 요하지 않는 나무와 다년생식물은 토지의 일부로 부동산 정착물로 간주되며 부동산중개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즉, 매년 경작의 노력을 요하지 않는 나무나 다년생식물 등은 부동산 정착물로 취급되지만, 매년 경작수확물 및 가식중인 수목은 부동산 정착물로 취급하지 않는다.
---10---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