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번해설 | [정답] ⑤ A는 수요곡선기울기보다 공급곡선기울기가 작으므로 발산형에 해당한 다. B는 수요곡선기울기와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동일하므로 순환형, C 는 수요곡선기울기보다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크므로 수렴형에 해당한다. 거미집 이론에 따르면 수렴형, 발산형, 순환형의 유형이 있다. 1. 수렴형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2. 발산형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3. 순환형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따라서 A부동산시장은 발산형, B부동산시장은 순환형, C부동산시장은 수렴형에 해당된다. 거미집이론에 따른 그래프를 직접 그려서 확인하는 것이 훨씬 정확하게 문제를 맞출 수 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절대값)이 공급의 가격탄력성(절대값)보다 크다면, 즉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공급곡선의 기울기보다 완만하다면 가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이라는 점만 명심하면 쉽게 답을 고를 수 있다. 기울기가 크다(날카롭다)는 것은 탄력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즉 수요곡선의 기울기(절대값)가 공급곡선의 기울기(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발산하게 되고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같은 경우는 순환하게 된다. |
'1차 공인중개사 시험 > 12회~30회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부동산 공급 및 공급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0) | 2017.10.20 |
---|---|
6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대값을 의미하며, 다른 조건은 불변이라고 가정 (0) | 2017.10.20 |
4 아파트 매매가격이 16% 상승함에 따라 다세대주택의 매매수요량이 8% 증가하고 아파트 매매수요량이 4% 감소한 경우에, (0) | 2017.10.20 |
3 부동산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0) | 2017.10.20 |
2 부동산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17.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