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해설 | 1. X산업의 입지계수 = X산업의 지역 고용률 / X산업의 전국 고용률 2. A도시 : (400/1,000) / (3,350/6,250) = 0.4 / 0.536 = 0.75 3. B도시 : (1,200/2,000) / (3,350/6,250) = 0.6 / 0.536 = 1.12 4. C도시 : (650/1,150) / (3,350/6,250) = 0.565 / 0.536 = 1.05 5. D도시 : (1,100/2,100) / (3,350/6,250) = 0.524 / 0.536 = 0.98 추가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LQ)는 어떤 지역의 A산업과 전국의 동일 A산업에 대한 상대적인 특화정도를 측정한 지수다. ③번 해설 : 입지계수 LQ = (A지역의 X산업/ A지역의 전체 산업)/(전국의 산업/전국의 전체 산업) A에서의 X산업의 입지계수 = (400/1,000) / (3,350/6,250) = 0.75 B에서의 X산업의 입지계수 = (1,200/2,000) / (3,350/6,250) = 1.12 C에서의 X산업의 입지계수 = (650/1,150) / (3,350/6,250) = 1.05 D에서의 X산업의 입지계수 = (1,100/2,100) / (3,350/6,250) = 0.97 |
'1차 공인중개사 시험 > 12회~30회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주거분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0) | 2017.10.20 |
---|---|
9 다음의 내용을 모두 설명하는 지대는? (0) | 2017.10.20 |
7 부동산 공급 및 공급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0) | 2017.10.20 |
6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대값을 의미하며, 다른 조건은 불변이라고 가정 (0) | 2017.10.20 |
5 A, B, C 부동산시장이 다음과 같을 때 거미집이론에 따른 각 시장의 모형형태는? (단,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을 나타내며, (0) | 2017.10.20 |